지난 3일 경남 하동군 하동읍 섬진강재첩횟집. 봄이면 매화와 벚꽃으로 뒤덮이는 하동 십리벚꽃길 중간쯤에 있는 식당에 손님들이 붐볐다. 이곳은 사실상 하동에서만 먹을 수 있는 참게가리장국을 처음으로 음식화해 특허까지 받았다. 원래 하동은 재첩국으로 유명하지만 이곳 지역민들에게는 재첩국만큼이나 오랜 세월 사랑받아 온 토속 음식이 참게가리장국이다.
참게가리장국은 섬진강변 사람들이 어린 시절 강가나 논두렁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참게를 잡아 밀가루 등과 섞어 죽처럼 쑤어서 먹었던 게 원조다. 가리장국의 ‘가리’는 ‘가루’의 이곳 사투리다. 섬진강횟집 대표 양해영(65)씨가 2000년대 초 어린 시절 추억을 토대로 음식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.
양씨는 “옛날에 아버지가 논두렁에서 큰 참게 서너 마리를 잡아 오시면 절구통에 갈아서 밀가루와 섞어 죽처럼 만들어 먹었다”며 “먹을 것이 귀한 시절이어서 참게를 그냥 먹으면 많이 못 먹으니 죽같이 만들어 온 가족이 함께 배불리 먹었던 추억을 토대로 참게가리장국을 만들게 된 것”이라고 말했다.
양씨는 원래 횟집으로 시작했으나 2000년대 초반부터는 여러 곳의 자문 등을 받아 참게가리장국을 주로 팔기 시작했고 2011년에는 특허도 받았다.
양씨가 공개한 참게가리장국을 만드는 과정은 이렇다. 갓 잡아 온 참게를 세척하고 삶은 뒤 건조기에서 일정한 온도로 60시간 가까이 말린다. 이후 참게를 통째로 분쇄 기계에 넣어 분말처럼 만들어 보관한 뒤 손님이 올 때마다 들깨·밀가루·검은콩가루 등 8가지 곡물가루와 섞어 죽으로 만든다.
이날 직접 먹어본 참게가리장국은 겉으로만 ...
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57136?cloc=dailymotion